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우당탕탕입니다.

오늘도 정보를 가져왔는데요, 바로 부동산에 관련된 이야기 입니다. 우리는 집을 알아보거나 매물을 알아볼때 가장 중요시 여기는것이 무었일까요? 보통은 가격일겁니다. 지리적으로 아무리 좋아도 가격대가 비싸서 사질 못한다면 말짱도루묵이죠, 그래서 우리는 예산에 맞게 어느정도 시세에 맞게끔 설정을 해서 계획을 세워야합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kb시세조회로 부동산 가격 알아보는법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우선 국민은행 공식홈페이지를 통해서 진행을 해야하는데요, 우리가 아는 기존 국민뱅크랑은 조금 틀린 사이트입니다.



바로 KB부동산알리지 라는 사이트입니다. 검색을 통해서 접속을 해주시거나, 주소창에 입력을해서 접속을 해주세요.



여러가지 메뉴들이 있습니다. 매물부터 이용안내까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궁금하신 분들은 한번쯤 둘러보셔도 좋겠습니다. 우리는 kb시세조회를 해서 부동산 가격을 알아봐야 하기 때문에 시세를 선택하여 줍니다.



이렇게 아파트나 오피스텔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주택은 나와있지 않는것으로 보아 보지 못하는것 같습니다만 주택의 경우에는 주변 건물의 시세로 얼추 파악이 가능하다고 보여지며, 정확한 정보는 해당지역 부동산가게에서 확인하시는것이 가장 정확하다고 봅니다.




제가 kb시세조회로 본 면적장 시세추이나,면적별금액에 관해서 가격정보를 조금 가렸는데요, KB에서 제공을 하지만 저작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문제의 소지가 있어 가렸습니다. 저는 방법만을 알려드리기 위해서임을 알립니다.



저는 63빌딩 부근의 시세가 궁금하여서 여의도동으로 선택을 해보았습니다. 1제곱미터 면적당 시세가 분기별로 나와있으며 대체적으로 오르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있습니다.



면적별로는 하위평균가와 일반평균, 상위가 있습니다. 매매냐 전세냐 월세이냐로 나뉘어 지게 되며 제곱미터로도 나뉘어져 있습니다. 필요한부분을 캐치하여서 알아보시면 되겠습니다. 갱신도 주기적으로 되기 때문에 항상 최신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상위평균가격이라고 하면 고가로 거래되는 선호 세대들의 평균적인 가격을 뜻하며 일반은 일반적으로 거래되는 것, 하위는 저가로 통용이 되는것을 뜻합니다.



이렇게 kb시세조회로 부동산 가격 보는법에 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이런 방법으로 조회한것보다는 실제로 그 주변 업자를 통해서 확인하시는것이 보편적이라고 생각하나 어느정도 알고가는것과 모르고 가는것에 차이는 어마어마 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미리 확인하시는것도 괜찮다고 봅니다.


댓글